S1. 진단
입학 초기에 대학전공적합검사, 학습역량검사, 핵심역량검사 등을 통해 진로, 학습 등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을 실시합니다.
S2. 경험(1학년 1학기)
교과과정 | ▪주제탐구세미나 Ⅰ, Ⅱ, 전공수학: 전체 전공의 기초수업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.
▪전공탐색과 설계, 진로탐색과 설계: 과목은 자유전공학부 학생이 필수적으로 수강하는 과목이며, 이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와 전공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. ▪5월에 희망전공을 선택하게 됩니다. |
비교과과정 | ☞교과과정 이외에도 학생들의 학교 및 학과 적응, 진로탐색을 위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
▪맞춤형 학습지원: 교수학습혁신센터 및 교육과정혁신센터와 연계한 AI기반 학습지원, 튜터링 등을 통해 학생 개인 맞춤형 학습을 지원합니다. ▪밀착형 진로상담지원: – 담임교수와 1:1 상담: 3월 2주차부터 담임교수와의 1:1 상담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, 필요에 따라 희망전공 학과 교수님과의 상담도 신청할 수 있어 대학생활 및 전공선택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– 멘토링 SSUPERMEN: 선배와의 멘토링을 통해 희망하는 전공에 대한 정보 및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팁을 얻을 수 있습니다. – 전공박람회: 3월 중에 전공박람회가 개최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전공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 – 진로토크콘서트: 다양한 전공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들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 ▪적응형 소속감 강화: 이 외에도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이 학교와 학과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. (신입생 welcoming day, 자유전공학부 페스티벌 등) |
S3. 이수(1학년 2학기)
교과과정 | ▪전공기초교과목 수강: 5월에 신청한 희망전공의 전공기초 교과목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. ▪다전공탐색과 설계: 숭실대학교는 2025년부터 다전공 이수 필수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<다전공탐색과 설계> 교과목 수강을 통해 선택한 전공 이외에 다양한 전공을 탐색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. ▪주전공선택: 11월에 최종적으로 희망하는 전공을 선택하게 되며, 이때 선택한 전공을 주전공으로 2학년때부터는 해당 학과 전공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. |